수경재배 방식으로 16만 개의 ’무병 씨감자’ 생산 <br />’수경재배’ 무병 씨감자 생산과 증식기술 개발 <br />남미·아프리카 등 20개 국가에 무병 씨감자 수출<br /><br /> <br />올해는 한반도에 감자가 들어온 지 20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. <br /> <br />감자는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 궁핍했던 시절 배고픔을 해결해줬던 대표적인 구황작물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던 게 이제는 우리나라가 감자 원산지에 씨감자를 수출하는 감자 강국으로 자리 잡았습니다, <br /> <br />최명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유리온실이 빼곡한 이곳은 국내 감자연구 1번지인 고령지농업연구소입니다. <br /> <br />감자는 영양번식을 하는 탓에 한번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다음 세대까지 이어질 수 있어 무병 씨감자 확보가 절대적입니다. <br /> <br />이곳에선 수경재배 방식으로 칼슘과 마그네슘 등 각종 영양분을 공급해 매년 16만 개의 무병 씨감자를 생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에 감자가 전해진 건 200년 전인 1824년 조선 순조 때입니다. <br /> <br />나라가 어렵고 궁핍했을 때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감자는, <br /> <br />구황작물의 역할을 톡톡히 했습니다. <br /> <br />1961년 대관령에 감자 특화 연구소가 문을 열면서 국내 감자 연구는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습니다. <br /> <br />[조지홍 /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장 : 우장춘 박사께서 여기에 자리를 잡으셨습니다. 대관령이 여름에 서늘하기 때문에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감자 재배하기에 가장 좋은 그런 조건을 가지고 있거든요.] <br /> <br />그러다 1990년대 초 세계 최초로 수경재배 기술을 이용한 무병 씨감자 생산과 증식 기술을 개발하는 쾌거를 이뤘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소가 지금까지 내놓은 품종만 47종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이제는 감자의 원산지인 남미를 비롯해 아프리카와 아시아 지역 20개 국가에 무명 씨감자를 수출하는 감자 선진국으로 자리 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[에이트 호신 람단 / 알제리 감자 연구원 : 알제리는 평균 40만 톤 정도의 씨감자가 필요합니다. (한국의 도움으로) 현재는 60~65% 정도의 씨감자를 자급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UN 산하 감자연구소도 우리 씨감자 생산 기술 체계를 도입하는 등 한국 배우기에 열심입니다. <br /> <br />농진청은 국내 감자 전래 200주년을 맞아 그동안 연구개발 역사와 국제협력 성과를 조명하는 국제 심포지엄을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k-씨감자가 식량 자원을 넘어 각종 화장품과 의약품으로까지 영역을 확장하면서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명신 (mscho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62021222690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